fov 2

04. 광학계 - 공간 분해능(Spatial Resolution)

이번 포스팅에서서는 광학계 공간분해능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카메라 분해능이란 물체를 카메라로 찍을 경우 대상물의 목적하는 부분에서 (FOV)에서 카메라의 1pixel로 최소로 볼 수 있는 영역을 말합니다.이러한 광학계 분해능은 동일한 장면을 동일한 위치와 각도로 검사하더라도 카메라에 따라서 바뀔 수 있고, 동일한 카메라로 검사하더라도 광학계 세팅에 따라서 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검사하고자 하는 불량의 최소크기가 분해능의 2~3배가 되도록 광학기기 분해능을 결정한 후에 이에 맞게 카메라/렌즈/조명 등의 세부 사양을 결정하곤 합니다.오늘은 분해능에서 혼동될 수 있는 부분과 분해능에 따른 광학기기의 사양 결정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공간 분해능(Spatial resolution)과 해상도(dis..

비전 검사 2024.06.01

02. 광학계 - FOV(Field of vies) 계산

이번 포스팅에서는 카메라 FOV(Field of view)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FOV는 카메라에 렌즈를 장착하여 대상을 촬영했을 때, 그 촬영한 영상의 사이즈를 뜻합니다.즉 fov는 카메라로 볼 수 있는 대상의 범위, 즉 카메라가 수집할 수 있는 검사 대상영역의 거리입니다. FOV = CCD 센서 사이즈 (H,V) / 렌즈 배율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예시)카메라 : CREVIS MC-A121M-67 카메라 사양서를 살펴보면 Resolution이라고 표시된 것이 Active Pixels 즉 카메라의 유효화소 사이즈입니다.유효 화소사이즈란 CCD 센서의 총 Resolution 중에 실제로 영상이 출력되는 소자의 갯수를 표기한 것입니다.일반적으로 유효화소수가 총 화소수와 같을 때에는 Resolution으로 ..

비전 검사 2024.0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