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hub란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를 위한 소스코드 관리서비스(원격 저장소)를 말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프로젝트 및 스터디 내용을 Github에 기록하기 위해 쥬피터 노트북과 Git hub를 연동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Github 설치 (Mac OS)
- Git 홈페이지에서 mac 버전(download for Mac 클릭) 을 설치합니다. (설치 링크)

- homebrew 클릭 (home brew 링크)

- 설치 명령에 복사
: install Homebrew 아래 노트 노양 아이콘을 클릭하면 설치 명령어가 복사됩니다.
/bin/bash -c "$(curl -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Homebrew/install/HEAD/install.sh)"
- 터미널에 명령어 붙여넣기
: commend + space 키를 눌러 터미널을 검색하고 실행합니다.

명령어가 실행되고 password: 문구가 출력되면 맥 로그인 비밀번호를 입력합니다.

설치가 완료된 후 brew help 명령어를 통해 설치가 잘 되었는지 확인합니다.
M1 Mac에서 blew help 명령어를 실행했을 때 다음과 같은 오류가 출력되었습니다.
>> zsh : command not found : brew
이 때,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입력해주면 해결됩니다.
eval $(/opt/homebrew/bin/brew shellenv)
- Git 설치
: 터미널에 명령어 입력하기
brew install git
- 설치(버전) 확인하기

설치가 잘 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설치된 버전을 출력해봅니다.
git 버전이 출력되면 정상적으로 설치됐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git --version
2. jupytext 다운로드
jupytext는 .ipynb 파일을 저장하면 바로 .py로 저장해주는 역할을 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아래 코드를 통해 jupytext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pip install jupytext
jupyter notebook --generate-config
설치된 이후에 jupyter notebook을 실행하여 주피터 노트북을 다시 실행해줍니다.
실행을 한 뒤 메뉴에서 File-Pair Notebook with light Script를 체크해준뒤에 파일을 다시 저장해줍니다.
이렇게 세팅을 하면 .py로 파일이 하나 더 저장되어 깃허브에 .py 파일을 편하게 업로드하시면 됩니다.

3. 쥬피터 노트북과 깃허브 연동하기
- 깃허브 계정생성하기 (깃허브 링크)

- 저장소 (Repositories) 생성
repositories tab에 들어가서 New 버튼을 클릭합니다.
이름을 입력하고 저장소를 Create 해줍니다.


- Jupyter notebook에서 파일 다운로드하기
: File - Download as - Python(.py) 로 다운로드 해줍니다.

- 파일 업로드 하기
: code - 더보기 - Upload files 에서 파이썬 코드를 업로드 해줍니다.


'개발환경세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03. Mac OS 에서 주피터 노트북(Jupyter Notebooks) 설치하기 (0) | 2024.05.15 |
---|---|
02. Mac OS에서 Anaconda 설치하기 (0) | 2024.05.15 |
01. OpenCV개요 및 개발환경 설정 (0) | 2024.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