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 플랫폼

01. 차량 플랫폼 -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

만수르코딩방 2024. 6. 1. 20:04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SOA)란 차량의 기능들을 서비스화하여 각 기능이 각각의 서비스를 독립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설계된 SW 아키텍처를 뜻합니다. 글로벌 기업들은 이러한 SOA를 핵심 개념으로하여 SDV(Software-Defined Vehicle)를 추진해나가고 있는데,  제품을 기획하고 제조하는 과정에서 소비자의 관점과 개발자의 구현 수단을 일체화시킨 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단일 제어기에 대한 소프트웨어의 개발과 배포에 치중하던 기존의 개발 방식과는 달리 SOA에서는 서비스의 관점에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개선과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점진적 개선을 추구합니다.

 

출처 : 현대 기아 HMG 컨퍼런스

SDV 기반 차량 아키텍처는 서비스를 중심으로 차량 기능이 정의되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래케이션과, 이를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존재합니다. 이를 통해 기존 차량 플랫폼 제어기능과 고성능 컴퓨팅유닛(ADAS, AVNT) 간의 제어기능 간 상호 운용성을 확보함으로써 차량 제어 성능을 고도화 하고 차량 플랫폼레벨에서 제공가능한 서비스 인터페이스 개발을 위한 제어기능 집중화가 가능해집니다.  

 

이러한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의 특징은 SW간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이더넷 프로토콜을 이용해 정보를 송수신합니다. 어플리케이션 SW들은 가성화된 서비스 버스에 연결되어있으며 미들웨어를 통해 서비스에 접근하어 서비스 디스커버리 과정을 통해 서비스 버스 내에 존재하는 서비스를 탐색하고 필요서비스를 구독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SDV 기반아키텍처에서 H/W S/W 간에 대량의 데이터를 일관되게, 실시간으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중심의 통신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주요 차량용 이더넷 통신 프로토콜로는 DDS, SOME/IP 등이 사용됩니다.  

 

SOME/IP와 DDS는 모두 제어 메세지에 사용할 수 있는 자동차 미들웨어 솔루션으로, publish/subscribe 패턴과 서비스request/reply 패턴(RPC)를 사용하여 분산형 어플리케이션을 통신할 수 있도록 합니다. H/W, S/W 독립적인 DDS를 가상 데이터 버스로 사용하여 각 제어기들이 서비스에 연결이되어 분산형 데이터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것 입니다.